■ 명리학 6교시
◆ 공망(空亡) 공망(空亡)은 '비어있다, 공허하다. 달아나다. 죽다. 끝없이 추구한다'의 뜻으로 천간과 지지와 관계에서 발생하는 것.천간 10글자와 지지 12개 글자가 차례로 짝을 지어가면 2개의 글자가 남게 된다. 그 남은 2개의 글자가 공망이 된다. 甲子, 乙丑, 丙寅,丁卯, 戊辰, 己巳, 庚午, 辛未, 壬申, 癸酉 : 戌亥 (공망) 일주를 기준으로 한다. - 공망(空亡)은 채워지지 않은 기운, 채울 수 없는 기운, 비어있는 기운, 실체적으로 쓰기 어려운 기운으로 정신적인 갈망상태가 될 수도 있다.- 현실적으로 한 번에 이루어지지 않거나 여러 번에 걸쳐서 채워지는 기운을 의미.- 비겁 공망식상 공망時日月年 時 日 月 年 甲 乙 辰 未 일주가 甲辰이면 寅卯가 공망으로 비겁 공망이..
2025. 4. 24.
■ 명리학 5교시
◆ 재성(財星) : 일간이 극하는 오행 - 안정적인 관리, 재물의 별, 노동을 통해서 재물을 취득5) 정재(正財) 음양이 다르다.- 정재는 정기적으로 규칙적으로 고정적으로 들어오는 재물로 보통 한 달 동안 일하고 받는 임금, 임대료, 수수료 등을 의미.- 정재는 식상의 활동으로 얻어지는 결과물이며 식상과 재성의 연결이 잘되어 있으면 부자가 되기도 한다.- 정재는 단기는 결과보다는 장기적인 안목(장기저축, 적금 등)으로 부(富)를 만들며 근면성실하다.- 내 일간이 戊土이면 정재는 천간으로 癸水이고 지지로는 子水가 된다.- 육친적 : 남자 - 정실부인, 고모, 형수, 제수 여자 - 부친, 손자, 시어머니 - 정재는 색욕, 물욕과 향락성을 의미하기도 하며 현실적이며 실용적인 생활을 추구. 6) 편재(偏財..
2025. 4. 24.
■ 명리학 1교시
- 태양이 도는 길 : 황도- 365/24 = 약 15일- 사주 명리학 : 절기학 ( 1년의 시작을 알리는 '입춘' , 전과 후로 띠가 정해진다) - 태극기의 태극원 : 음/양 , 그림자의 길이 ' ~ '- 건 : 하늘 (양) | 곤 : 땅 (음) | 리 : 불 꽃 (가운데가 - 양) | 감 : 물 - 사서 : 대학, 중용, 논어, 맹자 | 오경 : 시경, 서경, 춘추, 예기, 역경 : 공자(자공) > 위편삼전 운칠삼기 - 사주팔자 : 태어난 기(氣 ) 를 4개의 좌표로 년월일시(年月日時) 4개의 기둥과 8개의 글자로 나타낸 것 > 명(命) ※ 좌표에는 성격이나 삶의 태도, 가치관, 생활방식 (직업, 음식섭취, 건강관리, 공간사용), 행동양식의 다양한 모습을 보임 양음양음양음양음양음甲乙丙丁戊..
2025. 3. 20.